국립부경대학교 | 학부대학

교수진 소개

교수사진

최호석학부대학장

  • 주소 :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인문사회경영관 1202호
  • 이메일 : 메일
  • 전화번호 : 051-629-7002
  • 홈페이지 : 

2000. 2.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박사)

1994. 2.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석사)

1992. 2.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사)

1985. 2. 서울 배명고등학교 졸업

 

 

2019. 9. ~ 2020. 9. 국립한국문학관 자문위원

2018. 6.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데이터베이스(보고사, 2017)

2018. 3. ~ 2020. 2.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회장

2011. 2. ~ 2014. 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과용 도서 검정심의회 심의위원

2008. 3 ~ 현재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교수

2002. 8. ~ 2007. 1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2000. 9. ~ 2001. 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BK21사업단 박사후연구원

1996. 3. ~ 2008. 2. 고려대학교동덕여자대학교인천대학교 출강

1994. 3. ~ 1998. 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연구원

 

 

 

 

 

 

 

 

한국고전서사(고전소설)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학위논문

 

최호석(2000), <옥린몽>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호석(1994), 「『석가여래십지수행기의 소설사적 전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일반논문

 

최호석(2021), 玉所自編文集 <玉所稿> 」 「에 대하여, 동양고전연구85, 동양고전학회.

최호석(2021), 玉所의 문집 편집 구상과 石印本 玉所集의 간행, 영남학79, 영남문화연구원.

최호석(2020), 판소리의 수궁경회록 수용 양상, 고전과해석32,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최호석 외(2020), <기생충>에 수용된 먹이의 공유(共有) 관계에 대한 고찰, 철학·사상·문화34,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최호석(2020), 고전서사 자료 구축의 현황과 과제 -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데이터베이스와 관련하여, 한국연구4, 한국연구원.

최호석(2018), 경성서적업조합의 고전소설 출판에 대한 연구, 고전과해석26,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최호석(2016), 유성기 음반 속 고전소설­ - 20세기 초 고전소설의 장르 전환과 변모, 동양고전연구, 63, 동양고전학회.

최호석(2016), 국어 교과서 수록 고전소설 출전의 제 문제 - 2015 개정 교육 과정에 의한 국어 교과서 편찬에 대한 제언, 한어문교육36,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최호석(2015), 활자본 고전소설의 인쇄소와 인쇄인, 동양고전연구, 59, 동양고전학회.

최호석(2015), 웅초 김규택의 장편 만문만화에 대한 연구 -20세기 초 고전소설의 양식적 전환과 관련하여, 한국언어문학92, 한국언어문학회.

최호석(2014), 文學敎科書 著者縱的 連結先行 敎科書再活用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檢定 敎科書를 중심으로, 어문연구42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최호석(2014), 고전소설 교육의 소통을 위한 제언-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교과서의 제 문제, 한어문교육30,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최호석(2013), 活字本 古典小說에 대한 統計的 考察, 어문연구41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최호석(2013), 활자본 고전소설의 총량에 대한 연구, 고전문학연구43, 한국고전문학회.

최호석(2013), 활자본 고전소설의 유형에 대한 연구, 우리문학연구38, 우리문학회.

최호석(2012), 고등학교 문학교과서 수록 고전소설 텍스트의 출처 제시 오류에 대한 고찰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우리어문연구44, 우리어문학회.

최호석(2010), 신문관 간행 육전소설에 대한 연구, 한민족어문학57, 한민족어문학회.

최호석(2010), 안성판과 경판의 거리, 열상고전연구31, 열상고전연구회.

최호석(2010), 영창서관의 고전소설 출판에 대한 연구, 우리어문연구37, 우리어문학회.

최호석(2010), 장응진 소설의 성경 모티프 연구 - 일본 유학 시절 작품을 대상으로, 동북아문화연구22, 동북아시아문화학회.

최호석(2009), 지식의 생성과 확산에 대한 사례 연구-이민희 편저, 마지막 서적중개상 송신용 연구, 보고사, 2009, 민족문학사연구41, 민족문학사학회.

최호석(2009), 旅行의 즐거움 - 玉所 權燮山水 紀行, 온지논총21, 온지학회.

최호석·엄태웅(2008), 해양인문학의 가능성과 과제, 동북아문화연구17, 동북아시아문화학회.

 

최호석(2008), 「『玉所稿所載 夢畵製作에 대한 硏究, 역사민속학28, 한국역사민속학회.

최호석(2006), 대구 재전당서포의 출판 활동 연구, 어문연구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최호석(2006), 안성판 방각본 출판의 전개와 특성, 어문논집54, 민족어문학회.

최호석(2006), 옥소 문집의 서지적 고찰, 국제어문36, 국제어문학회.

최호석(2005), 안성의 방각본 출판 입지, 국제어문34, 국제어문학회.

최호석·강신애(2005),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의 시공간적 분포와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4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최호석(2005), 지송욱과 신구서림, 고소설연구19, 한국고소설학회.

최호석(2004), 방각본 출판의 경제성 시론, 우리문학연구17, 우리문학회.

최호석(2003), <옥원재합기연>, 고전문학연구23, 한국고전문학회.

최호석(2003), <옥원재합기연>에 나타난 윤리적 갈등 -宗法과 관련하여, 고소설연구15, 한국고소설학회.

최호석(2001), 玉所 權燮小說 漢譯과 그 意味, 고소설연구11, 한국고소설학회.

최호석(2000), 설저전 이본 연구, 우리문학연구13, 우리문학회.

최호석(2000), 설저전 해제 및 이본 교주, Journal of Korean Culture1, 고려대학교 BK21 한국학 교육 연구단.

최호석(1999), 옥린몽 작가 연구, 어문논집40, 민족어문학회.

최호석(1998), 경덕왕 설화 연구, 한국민속학30, 한국민속학회.

최호석(1998), 셜졔젼 연구, 고소설연구6, 한국고소설학회.

최호석(1997), 오대어부가를 통해 본 17세기 강호시가의 양상, 어문논집36, 민족어문학회.

 

저서

 

최호석(2017),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데이터베이스, 보고사.

최호석(2017), 활자본 고전소설의 기초 연구, 보고사.

최호석(2004), 옥린몽의 작가와 작품세계. 다운샘.

 

공저

 

정우락 외(2022), 옥소 권섭의 세계 인식과 문경, 문경시.

황태묵·백진우·최성윤·최호석(2021), 토의간 주해, 흐름출판사.

황태묵·백진우·최성윤·최호석(2020), 강상련 주해, 흐름출판사.

황태묵·백진우·최성윤·최호석(2020), 연의각 주해, 흐름출판사.

한국고소설학회(2019), 한국 고소설 강의, 돌베개.

이창희 외(2009), 옥소 권섭과 18세기 조선 문화, 다운샘.

이창희 외(2007), 18세기 예술 사회사와 옥소 권섭, 다운샘.

이창희·장정수·최호석(2007), 옥소고1~17, 다운샘.

 

 

우쾌제 외(2002), 고소설연구사, 도서출판 월인.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